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선조들 지혜 담긴 전통 고추장, 집에서 재미있게 만들기!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6-23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지난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코로나19로 학교에 가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 부모와 자녀가 함께 집에서 재미있고 간편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온라인 전통 장(醬) 만들기> 체험학습을 실시하였다. 체험학습은 5월 14일~ 6월 1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경기도민이라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고, 5월 4일부터 경기도농업기술원 누리집에서 선착순으로 모집하였다. 총 4기수로 진행되었는데 한 기수당 100명씩 총 400명을 모집하였으며, 1가정 1기수만 신청이 가능했다. 체험은 메밀된장 만들기와 고추장 만들기 두 종류가 있었으며,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한 거리두기를 실천하기 위해서 키트를 집으로 발송했다. 집으로 배송된 체험학습 재료로 부모와 자녀는 장소, 시간에 상관없이 동영상을 보면서 안전하고 쉽게 체험을 할 수 있었다. 꿈기자도 평소 우리 전통 음식에 대해 관심이 많았는데 <온라인 전통 장 만들기> 체험학습에 대해 알게 되어서 신청을 하고 참여했다. ​
  ⓒ 박중수 기자


온라인 장 만들기 체험 박스 안에는 천일염이 들어간 엿기름물, 고춧가루, 메줏가루, 플라스틱 용기, 그리고 전통고추장 만드는 법이 적힌 안내서가 들어 있었다. 또 메밀된장과 고추장으로 만들 수 있는 음식 레시피도 함께 들어 있어 자신이 직접 만든 된장이나 고추장으로 음식도 맛있게 만들어 먹을 수 있었다. . <맛깔나는 전통고추장 만들기>

  ⓒ 박중수 기자


1. 플라스틱 용기에 붙어 있는 스티커 눈금까지 천일염이 포함된 엿기름물을 부어준다. 눈금선까지 비슷하게 맞춰 부어야 한다.

  ⓒ 박중수 기자


2. 준비된 고춧가루 60g을 엿기름물에 넣어주고 2분간 잘 저어준다. 고춧가루 덩어리가 없어질 때까지 저어주어야 한다.

  ⓒ 박중수 기자


3. 준비된 메줏가루 40g을 넣어주고 2분간 다시 잘 저어준다. 역시 덩어리가 없을 때까지 저어주어야 한다.

  ⓒ 박중수 기자


4. 고춧가루와 메줏가루 반죽의 농도를 잘 맞춰준다. 고추장이 딱딱하다면 엿기름물을 조금 더 넣어주면 된다.

  ⓒ 박중수 기자


5. 뚜껑을 닫고 준비된 스티커에 이름과 만든 날짜를 적어 준 다음 뚜껑 위에 붙인다. 스티커의 설명대로 2주일간 발효 숙성 후 먹으면 된다. 고추장은 바로 먹을 수 있지만 1~2주 냉장고에 숙성시켜서 먹으면 더욱 맛있다. 방부제 처리가 되지 않아 곰팡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장기 숙성 시 2~3일 간격으로 잘 섞어주어야 한다.

  ⓒ 박중수 기자


꿈기자는 고추장을 만들고 며칠 후에 직접 만든 고추장을 사용해 떡볶이를 만들어 먹었다. 평소에 먹는 떡볶이도 맛있었지만 직접 만든 고추장으로 만들어서 이번 떡볶이는 더욱 맛있었다.

  ⓒ 박중수 기자


이렇게 고추장을 만든 뒤 학교에서 국어 시간에 우리 전통 음식에 대한 내용의 논설문을 배우게 되었다. 우리 전통 음식 중 된장, 간장, 고추장 같은 발효 식품에는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몸을 건강하게 해준다고 한다. 그 외에도 청국장은 항암 효과와 해독 작용까지 뛰어나며, 된장 역시 건강에 이로운 식품이라고 한다. 고추장을 직접 집에서 만든 뒤 글을 읽으니 글의 내용이 더 흥미롭고 국어 시간이 훨씬 재미있었다. 고추장에는 고춧가루만 들어가는 줄 알았는데 된장을 만들 때 쓰는 메줏가루가 들어간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고, 소금인 천일염이 든 엿기름물이 들어갔는데 고추장이 많이 짜거나 달지 않다는 것이 신기했다. 집에서 고추장을 처음 만들어보니 재미있고 직접 만든 고추장으로 요리도 해서 먹으니 성취감도 느껴졌다. 우리 전통 음식의 좋은 점을 더 많이 알게 되었으니 앞으로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건강한 전통 음식을 더욱 사랑하고 즐겨 먹도록 해야겠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도, 유명 프랜차이즈 갑질 적발…“불공정행위에 적극 대응”
이전글 新(신)박, SSam(쌈)박, 大(대)박 어박TV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