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상생기업 ①] (주)달고리 권예은 대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6-03
시작하는 초경을 축하하듯, 끝맺은 완경에 ‘위로, 감사, 응원’을 담아 선물하자. 달고리의 ‘완경박스’는 그렇게 탄생했다. 글. 김진 사진. 유승현
  ⓒ 


‘폐경’이 아닌 ‘완경’을 축하하다 권예은 대표가 여성 갱년기와 월경, 완경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된 건 엄마의 갑작스러운 입원 때문이었다. 갱년기를 보내던 엄마가 병상에서 지내면서부터 권예은 대표는 엄마뿐 아니라 갱년기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고통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늦었지만 갱년기를 보내고 완경을 한 엄마에게 선물을 드리고 싶었어요. 찾아 봤더니 중·장년층에게 도움이 되는 건강 식품이 주로 여성의 갱년기를 위해 판매 되고 있더라고요. 하지만 엄마의 마음을 만져줄 수 있는 선물이 필요했어요.” 권예은 대표는 완경과 갱년기를 겪는 여성들의 마음에 집중했다. 적합한 선물이 없어서 직접 만들어보고자 했다. 완경박스에는 여성의 정서적 부분을 어루만져 줄 수 있는 문구와 소책자, 피로한 안구에 촉촉한 생기를 불어넣어주는 팥 찜질팩, ‘고귀함’이라는 꽃말의 목련 브로치, 족욕제, 꽃향기 방향제, 엽서 등이 들어 있다. 실제 구매자들의 생생한 후기를 반영해 완경박스 안 내용물을 하나하나 공들여 리뉴얼해왔다. ‘달고리’라는 업체명도 브랜드 스토리가 탄탄하다. 월경의 순우리말인 ‘달거리’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만든 이름으로, month의 월과 달을 의미하는 ‘달’에 반복되는 주기나 순환을 뜻하는 ‘고리’를 더했다. 즉 달고리 자체가 한 여성의 초경부터 완경까지의 생애주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제품 ‘완경박스’를 통해 완경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야기하고 즐길 수 있는 행사로도 사업을 확장했다. 구매자를 대상으로 개최한 완두콩(완경, 두 번째 인생 시작, 콩그레츄레이션) 파티는 완경박스를 구매한 고객과 선물 받은 고객을 함께 초대해 완경을 축하하는 자리다. 주로 딸과 엄마로 구성된 파티 참석자들은 갱년기와 완경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보냈고, 그 자리에서 서 로 많은 위로와 감동을 주고 받았다.

  ⓒ 


경기도와 함께 성장하는 달고리 달고리는 2018년 5월 창업했다. 아이디어가 현실화된 것은 경기도일자리재단(경기여성창업플랫폼 꿈마루)에서 열리는 여성창업플랫폼 꿈마루 창업리그에서 1등을 수상하면서다. 꿈마루 창업리그에서 사업화 지원금, 즉 시드머니(약 500만 원)를 지원받아 사업을 본격적으로 구체화했다. 2017년 크라우드 펀딩에서 1차 때 목표 금액(200만 원)의 376%(752만 원)를, 2차 때 1,537%(3,073만 원)를 달성하며 생각보다 많은 이가 완경박스를 필요로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도 했다. 달고리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선정한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우뚝 섰고, 올해는 산학협력 지원 사업에도 선정되었다. 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팝업 스토어에서 판매하고 있는 완경박스는 얼마 전 경기도주식회사의 스토어팜에도 입점 했다. 청소년 딸에서 아들, 남편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완경박스의 구매자들을 보면서 보람을 느낀다는 권예은 대표. 현재는 갱년기 여성을 위한 완경박스가 주 판매 제품이지만, 앞으로 초경을 맞은 청소년을 위한 제품 등 여성의 생애주기를 고민한 다양한 아이템도 준비 중이다. “선물 받는 갱년기 여성 본인뿐 아니라 선물하는 구매자까지 완경을 좀 더 긍정 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고 싶어요. 여성의 초경에서 완경까지의 생애주기를 뜻하는 ‘달고리’의 정체성처럼 모든 여성의 생애주기를 위한 제품과 서비스 를 위해 고민하겠습니다.”

달고리 ‘완경박스’의 문구는 모두 권예은 대표가 직접 썼다.  ⓒ 


경기도주식회사 산학협력 영상 제작 사업 ‘경기도주식회사’는 경기도와 중소기업의 동반 성장을 돕는 최고의 파트너입니다. 상생협력을 위해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유통·홍보 등 채널 연계를 도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돕고 있습니다. 산학협력 사업에서는 도내 영상 콘텐츠 전공 대학생과 중소기업 제품 홍보 영상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경기도주식회사 031-5171-5563 / www.kgcbrand.com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한반도를 푸르게, 남북산림협력센터 문 활짝!
이전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