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스토리] 숲과 바다가 어우러진 곳! 바다향기 수목원 탐방기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6-02
수목원, 많이 들어보셨죠? 수목원은 공원이나 유원지와는 달리 `관찰이나 연구 목적으로 여러 나무를 수집하여 재배하는 시설`입니다. 경기도에는 다양한 수목원이 있습니다. 각각의 개성을 가진 꽃과 나무의 싱그러움으로 사람들에게 힐링을 주는 장소인데요. 오늘 소개해드릴 수목원은 바로 경기도 안산시 선감도 내에 위치한 `바다향기 수목원`입니다. 1년 중 날씨가 가장 좋다는 5월 수목원은 어떤 모습일까요? ‘경기도 바다향기 수목원’, 지금 바로 소개드릴게요.
수목원 입·출구  ⓒ 나보름 기자




정문에서 바라본 풍경  ⓒ 나보름 기자


‘바다향기 수목원’은 속세를 떠나 선경에 살던 신선이 내려와 맑은 물로 목욕했다는 뜻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경기도는 식물자원 보호와 서해안의 산림휴양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2007년부터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 2019년 5월 10일에 정식 개원 했습니다. 면적은 약 30만평이며, 약 1000여 종류 30여만 그루의 식물들이 살고 있습니다. 특색 있는 19가지 주제원의 운영함으로써 사람들의 눈과 마음을 즐겁게 해줍니다.

전시온실  ⓒ 나보름 기자


입장하면 제일 먼저 우측의 방문자센터와 울창한 나무가 반겨줍니다. 좌측에는 전시온실이 있으나 현재 전시온실은 코로나19로 인해 운영이 중단되어 있는 상황이니 방문 시 참고해 주세요. 유리온실 내부에서는 난대 및 해양성 식물들을 관람할 수 있습니다.

바다 너울원  ⓒ 나보름 기자


다음으로 소개드릴 곳은 `바다 너울원`입니다. 바다가 너울거리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선감도 대흥산의 계곡 물로 형성된 생태연못입니다. 나무데크로 연못 위에 길을 만들어놓아 더욱 멋스러움을 보여줍니다.

심청연못  ⓒ 나보름 기자


서해안의 인당수를 상상하며 만든 곳인 ‘심청 연못’. 연못 옆 벤치에 앉아서 물 위에 떠있는 아름다운 연꽃을 감상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대나무원  ⓒ 나보름 기자


이어서 소개드릴 주제원은 `대나무원`입니다. 심청연못과 장미원을 지나 언덕을 올라오면 시원한 바람에 흔들리는 대나무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암석원  ⓒ 나보름 기자


‘대나무원’ 옆에 자리 잡고 있는 ‘암석원’은 국내 최대의 암석원입니다. 위와 돌, 다양한 식물들이 어우러져 길을 만들었으며 사람들의 추억과 공간의 시간이 담긴 석탑이 있습니다. 총 35종 3,000여 그루의 식물이 심어져있고 계절별로 피어나는 각기 다른 꽃들을 볼 수 있어서 더욱 다채로운 공간입니다. 암석원을 산책하는 것은 바다향기 수목원의 기억 남는 산책 코스 중 하나랍니다.

암석원에서 조망한 서해안 풍경  ⓒ 나보름 기자


암석원에서 내려다 보이는 바다의 모습은 하늘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네요.

상상전망돼  ⓒ 경기농정 홈페이지


모든 상상이 전망되는 `상상전망돼` 이름 만큼이나 무척 흥미로운 공간인데요. 입구의 알 모양 철제 조형물은 서해안 고깃배 두 척을 맞대어 만들었으며 도자파편으로 꾸민 전망대로 올라가는 길은 국내에서 가장 긴 아트 슬로프(예술적인 경사로)입니다. ‘소리 나는 꿈나무’ 조형물도 만날 수 있습니다.

쉼터  ⓒ 나보름 기자


테이블과 벤치, 원두막이 곳곳에 위치해 힘이들면 쉴 수 있고, 소나무와 매실나무, 아카시나무가 즐비한 산의 산책로를 따라 걸을 수 있습니다. 가을, 겨울의 모습이 더욱 궁금해지는 바다향기 수목원에서의 하루 어떠신가요. 푸르른 나무 아래의 정자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고, 함께 온 사람과 그동안 못다 한 담소를 나누며 힐링하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통해 참고해주세요! ◎홈페이지 주소: http://farm.gg.go.kr/sigt/27787 ◎문의 031-8008-6795 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바다향기 수목원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도, 수원·부천 등 4개 市 요양병원 60곳 7781명 표본 진단검사…모두 음성
이전글 알쏭달쏭 분리수거 고민 끝!ㅣ#분리수거 #경기미디어크리에이터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