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영상뉴스 - 경기도의회 5분 자유발언 모음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6-30
제344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발달장애 학생 위한 병원학교‧지원센터 확대 촉구] 천영미 의원 / 경기도의회(더불어민주당) 오늘 본 의원은 발달장애 학생들을 위한 병원학교와 행동발달증진센터의 확대 설치를 촉구하고자 합니다. 2019년 기준 경기도내 21,802명의 특수교육대상자 중 발달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세 명 중 두 명 비율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발달장애 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한 경기도의 특수교육 시설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경기도 및 경기도교육청에서는 적극 행정으로 도내 발달장애인들의 어려움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본 의원은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의 협력 사업으로 발달장애인 행동발달증진센터 설립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주실 것을 요청 드립니다. [경기도 성별임금격차 해소방안 마련 촉구] 이혜원 의원/ 경기도의회(정의당) 경기가족연구원이 낸 성별 임금격차 자료에 따르면, 도내 여성 평균 임금은 월 166만 원이고, 남성 평균 임금은 월 282만 원으로, 그 격차는 41.1%입니다. 이는 OECD 임금 격차 평균 15.3%와는 비교할 수도 없고, 전국 임금 격차 평균 36.6%보다도 차이가 큽니다. 또한, 도내 노동자의 월평균 소득보다 임금이 낮은 저임금 노동자 103만9,000명 중, 여성이 66만9,093명으로 64.3%에 달하고 있습니다. 이는 여성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성별 임금격차 없는 공정한 경기도를 만들어나가는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선배·동료 의원님들과 집행부의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노동현안 해결 위한 적극적 역할 당부”] 김장일 의원 / 경기도의회(더불어민주당) 경기도 지방정부 차원에서 위험의 외주화를 방지하고 재해를 발생시킨 기업과 경영책임자의 형사책임 및 징벌적 손해배상책임이 강화되는 제재 방안을 발굴하고 제도화하여 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 건설노동자들의 안정적인 일자리를 위하여 노·노 간의 갈등을 종식하고 건설 노동현장에 평화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경기도가 적극적으로 나서 줄 것을 촉구합니다. [‘청소년증 확대 보급’ 제언] 서현옥 의원 / 경기도의회(더불어민주당) 청소년을 ‘학교’로 구분짓는 학생증을 대신해 청소년증의 기능을 확대하여 보급하자는 의견을 제안코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2004년 처음으로 발급된 청소년증은, 국가가 인정한 유일한 청소년의 신분증입니다. 그러나 각급학교에서는 ‘구성원의 정체성’, ‘관례상의 이유’ 등으로 청소년증 대신, 학생증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저는 다음의 두 가지 이유로 학생증 대신 청소년증이 확대 보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차별입니다. 두 번째 이유는, IC카드칩의 활용입니다. [경기도교육청 ‘디지털 활용교육’ 적극 대응해야] 황진희 의원 / 경기도의회(더불어민주당)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각급학교의 온라인 수업을 실시한 바 있습니다. 그 결과 선생님들의 온라인수업 미숙, 노후화되어 불안정한 학내망, 접속폭주로 인한 끊김 현상, 저소득층 자녀들의 인터넷사용과 단말기 보급문제, 학생들의 익숙하지 않은 온라인 학습 환경, 보급된 단말기로 학습외 사용, 스마트폰 중독문제 등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온라인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선생님들을 위해 교실에 무선인프라 교육환경구축이 필요하고, 학생들을 위해 단말기 보급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었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구축 완료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제 디지털 활용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도, 비대면 학습 활성화 등 민선7기 후반기 평생교육 방안 마련
이전글 한탄강 맑은 물빛! 함께 만들겠습니다. 한탄강 색도 개선을 위한 업무 협약식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