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나의 내면 들여다보기!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독스쿨(Doc school)로 의미있는 하루 보내기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6-30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의 로고이다. 오른쪽 상단의 새는 DMZ에 찾아오는 희귀철새 ‘백로기’라고 불리는데, 평화와 소통 그리고 생명의 희망을 상징한다.   ⓒ 이다혜 기자


세상을 바라보는 창,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가 올해로 12회를 맞이했습니다.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는 DMZ를 배경으로 국내외 다양한 다큐멘터리를 제공하는데요. 이는 국내 최대 규모의 다큐멘터리 축제이기도 합니다. "세계인들과 함께 하는 축제의 장을 열자"라는 목표로 진행되고 평화와 소통, 그리고 생명의 메시지를 담은 다큐멘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큐멘터리 ‘언프리티 영미’의 주인공 이영미이다.  ⓒ 이다혜 기자


매년 100여 편 이상의 국내 외 우수한 다큐멘터리를 상영하는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는 특히 교육적 측면에 주목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인 ‘독 스쿨(Doc School)’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독 스쿨(Doc school)은 단편 다큐멘터리를 시청한 후 제공된 워크시트를 작성하는 프로그램으로 코로나 19 시대에 온라인참여가 가능한 맞춤 교육을 제공합니다. 경기도에서 5월 18일부터 7월 18일까지 두 달 간 진행하고 있습니다.

독 스쿨(Doc school) 워크시트의 영상 내용 확인 질문과 개인의 의견에 관한 질문이다.  ⓒ 이다혜 기자


독 스쿨(Doc school)에서 시청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는 총 두 가지입니다. 그중에서 제가 본 다큐멘터리는 학교폭력과 외모지상주의를 비판하기 위해 제작된 ‘언프리티 영미’라는 18분의 단편 영상인데요. 언프리티 영미는 성장과정 속에서 외모 콤플렉스를 갖게 된 배경을 그리고 있습니다. 자신을 있는 그래도 사랑했던 어린 영미가 학창 시절 친구들의 배려없는 말을 통해 두꺼운 화장을 하고도 자신의 모습을 사랑하지 않게 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프로그램은 영상 시청 후 15페이지 분량의 워크시트를 스스로 작성하게되는데요. 이 과정에서 해당 다큐멘터리가 전해주고자 하는 의도를 자세히 되짚어 볼 수 있습니다. 워크시트는 ‘주인공의 이름이 무엇인가요?’, ‘주인공이 겪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요?’와 같이 영상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시작으로, ‘외모에 대한 놀림을 당한 경험이 있나요?`, `그때의 기분은 어땠나요?’ 같은 질문을 통해 학교폭력과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합니다. 또한 마지막으로 ‘외모 외에(또는 외모가 아닌) 다른 어떤 요소들이 자존감 있는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할까요?`’, ‘여러분이 생각하는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요?’와 같은 열린 질문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바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외에도 ‘내가 되고 싶은 얼굴 그려보기’,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내 생각을 랩으로 써보기’ 등 다양한 활동을 제공합니다. 저는 고등학교 3학년입니다. 입시 공부로 인해 평소보다 건강 유지와 외모 가꾸기를 우선순위로 두지 않았는데요. 그러면서 체중에 대한 압박을 받으며 자존감이 낮아진 상태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언프리티 영미`라는 다큐를 보며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또한 워크시트에 내 생각을 정리하여 글로 정리하며 그동안 미뤄두었던 스트레스가 조금은 정리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 목록은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이다혜 기자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는 독 스쿨(Doc school) 외에도 청소년다큐제작 워크숍, 다문화 청소년 다큐교실, 아시아 청년 다큐멘터리 공동제작 워크숍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큐멘터리나 영화에 관심 있거나 의미 있는 활동을 하고 싶다면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에 참여해 보길 추천합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도, 비대면 학습 활성화 등 민선7기 후반기 평생교육 방안 마련
이전글 경기도가 언택트 사회를 선도하겠습니다.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