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세상의 모든 가족]③ 혼자서도 당당하게!…경기도 1인 가구 지원사업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5-22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가족 구조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정책에도 변화가 필요한데요.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전통적 의미의 가족이 아닌 한부모 가족, 다문화 가족, 1인 가구, 북한이탈주민 가족 등 세상의 모든 가족을 위한 경기도의 정책을 소개합니다.
1인 가구의 일상을 보여주는 TV예능 프로그램 ‘나혼자 산다’가 방영한 지 올해로 11년차를 맞았습니다. 대한민국 세 가구 중 한 가구는 1인 가구일 정도로, 혼자 사는 게 대세인 시대인데요. 이러한 시대 변화에 맞춰 경기도에서는 1인 가구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경기도는 1인 가구가 ‘혼자서도 당당하게, 인생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 경기도 1인가구 포털


“혼자지만 함께라서 외롭지 않아요” ‘혼자 사는 1인 가구는 외롭다?’ 이러한 사회적 편견을 깨기 위한 사업이 있습니다. 혼자 살지만 결코 혼자가 아닌 1인 가구의 다양한 공동체 활동을 지원하는 경기도 ‘중장년 수다살롱’이 바로 그것입니다.
■ 마흔 넘어 만나는 인생 친구 ‘중장년 수다살롱’


‘중장년 수다살롱’은 도내 중장년 1인 가구의 공동체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수원시건강가정지원센터


중장년 수다살롱은 도내 중장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돕기 위한 공동체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만 40~64세 이하 중장년 1인 가구가 연령별·주제별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할 수 있도록 동아리 활동비를 지원합니다. ▪지원대상: 중장년(40~64세) 1인 가구(주민등록등본상 1인 가구 및 도내 실거주 1인 가구) ▪지원기준: 구성인원 5명 내외, 월 2회 이상 활동 ▪지원금액: 분기별 30~50만 원(인원에 따른 차등지원) ▪지원분야: 취미, 자기계발, 문화 등 주제별 및 연령대별 활동 희망 분야 -취미(독서, 여행, 악기 연주), 자기계발(언어, 자격증), 문화활동(영화, 연극관람) 등 ▪참여시군: 16개 시군(수원, 용인, 화성, 부천, 시흥, 파주, 의정부, 광명, 하남, 이천, 구리, 안성, 의왕, 포천, 과천, 연천)
식생활 개선부터 병원동행까지 ‘혼자일수록 더 건강하게!’ 혼자 살면서 가장 서러움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바로 몸이 아플 때인데요. 이에 도에서는 1인 가구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한 끼라도 건강하게 ‘식생활 개선 다이닝’ 프로그램
혼자 먹는다고 대충 끼니를 때우고 계시는가요? 그렇다면 1인 가구를 위한 ‘식생활 개선 다이닝’에 참여해 보세요. ‘식생활 개선 다이닝’은 균형 잡힌 식생활을 교육하고 함께 요리를 즐기는 프로그램으로, 1인 가구의 혼밥·식생활 개선 및 사회적 교류 증진을 위한 공동조리·요리교실입니다. 화성시 ‘한식 상차림’, 남양주시 ‘청년의 든든한 한 끼’, 여주시 ‘먹어영(YOUNG) 혼자의 재발견 프로그램’ 등 시군별로 체질탐구, 제로웨이스트 등 특색 있는 주제로 운영 중입니다. ▪지원대상: 도내 1인 가구(주민등록등본상 1인 가구 및 도내 실거주 1인 가구) ▪참여인원: 프로그램당 20명 내외 ▪참여시군: 21개 시군(수원, 용인, 화성, 부천, 남양주, 평택, 시흥, 파주, 의정부, 광명, 하남, 오산, 양주, 이천, 구리, 안성, 의왕, 포천, 여주, 과천, 연천)
■활력 넘치는 삶을 위한 ‘건강돌봄’ 프로그램
건강돌봄 프로그램은 1인 가구의 몸과 마음의 건강을 위한 연령대별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입니다. 부천시의 셀프 건강챙김, 시흥시의 1인 청년 가구 요가, 광명시의 테니스 같이하자 나랑, 안성시의 중장년 마음세탁소 등 요가, 테니스 등 다양한 신체활동과 수면 교육, 미술치료와 같은 정서 보듬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지원대상: 도내 1인 가구(주민등록등본상 1인 가구 및 도내 실거주 1인 가구) ▪참여인원: 프로그램당 20명 내외 ▪참여시군: 16개 시군(수원, 용인, 화성, 성남, 부천, 남양주, 시흥, 파주, 의정부, 광명, 하남, 양주, 이천, 구리, 안성, 연천)
■아픈데 혼자라서 병원 가기 어렵다면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경기도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 경기도청


경기도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은 병원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사실상 1인 가구의 병원 동행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지원대상: 병원동행 서비스가 필요한 도내 1인가구(연령, 소득 무관) ※가족이 교육, 직장 등으로 떨어져 있어 실질적으로 도움을 받기 어려운 사실상 1인 가구와 노인가구, 조손가구, 한부모가정 등도 이용 가능 ▪지원내용: -병원 출발 및 귀가 시 동행, 병원 접수·수납 지원, 요청 시 진료 동행 등 -요양보호사 등 관련 자격증 소지한 전문인력 방문 지원 ▪이용요금(자부담): -참여시군 시민(수행기관 기준): 5,000원/3시간 *30분 초과 시 2,500원 -미참여시군 시민(수행기관 기준): 5,000원/시간 *30분 초과 시 2,500원 ※이동서비스(차량운행 등) 미제공, 택시비·버스비 등 교통비는 신청자 부담 ▪운영시간:평일 오전 9시~오후 6시(병원 예약시간에 따라 9시 이전 가능) ▪참여시군: 10개 시군(성남, 광명, 군포, 안산, 과천, 평택, 시흥, 광주, 구리, 양평) ▪신청방법: 경기민원24(gg24.gg.go.kr)온라인 신청 및 전화 접수

경기도 1인가구 병원안심동행사업 시군 문의처.  ⓒ 경기도청


노후 준비부터 범죄예방까지 ‘혼자서도 안전하게!’ 1인 가구가 삶을 온전히 즐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전이 보장돼야 합니다. 이에 도는 1인 가구의 일상을 지키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합니다.
■1인 가구의 자기돌봄 능력 강화를 위한 ‘금융안전교육’
‘금융안전교육’은 1인 가구의 재무 설계 강화와 경제적 자기돌봄 능력 향상을 위해 생애주기별 맞춤 금융교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올해는 특히 전세 사기,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 과정을 강화했는데요. 수원시의 청년기 금융교육, 화성시의 스마트한 소비생활, 하남시의 미래를 위한 재무 여행 등이 있습니다. ▪지원대상: 도내 1인가구(주민등록등본상 1인 가구 및 도내 실거주 1인 가구) ▪사업내용: 금융안전 예방교육 및 범죄 피해자 교육 (기존 생애주기별 맞춤형 재무·경제교육 및 개인 재무 상담 연계 지원 포함) ▪참여시군: 16개 시군(수원, 용인, 화성, 성남, 부천, 평택, 시흥, 파주, 의정부, 광명, 하남, 양주, 이천, 구리, 안성, 연천)
■ 여성의 안전한 일상을 지키는 ‘여성 1인가구 안심패키지 보급 사업’


경기도 여성 1인가구 안심패키지 보급 사업.  ⓒ 경기도청


여성 1인가구 안심패키지 보급 사업은 성범죄, 주거 침입 등 범죄 대응능력이 취약한 혼자 사는 여성에게 창문 잠금장치, 문 열림 센서 등 안전용품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지원대상:신청일 현재 도내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여성 1인 가구 ※한부모 모자가정(범죄대응능력이 취약한 유소년자녀 가정 우선) ※주거침입, 스토킹, 데이트폭력, 성폭력 등 여성 대상 범죄 피해여성은 1인 가구에 한정하지 않고 누구나 지원 가능 ▪지원내용: 창문잠금장치, 스마트 문열림센서 등 안전용품을 담은 여성 1인 가구 안심 패키지 지원 ▪지원방법: 신청서류 제출→시군 서류확인, 지원대상 심사 후 선정된 여성 1인 가구에 택배로 안심패키지 개별 발송 ▪신청방법: 경기민원24(gg24.gg.go.kr) 온라인 신청 ▪접수 일정: 5월부터 접수 시작(시군별 상이)
한편, 경기도 1인가구 포털(www.gg.go.kr/1ingg)에서는 현재 모집 중인 사업부터 참여신청 페이지 이동까지, 도와 시군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1인 가구 지원 사업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기사 보기 ☞ [세상의 모든 가족]① 안정적인 양육 돕는다…경기도 한부모 가족 지원사업 [세상의 모든 가족]② 한국에서 더 행복하게!…경기도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가정의 달 #1인가구 #1인가구 지원사업 #중장년수다살롱 #동아리 #공동체 활동지원 #식생활 개선 다이닝 #혼밥 #요리교실 #공동조리 #건강돌봄 #요가 #병원안심동행 #금융안전교육 #노후준비 #전세사기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여성안심패키지 #안전용품 지원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기회로 여는 빛나는 미래”‥경기도-신세계 프라퍼티, ‘ESG 협업 사업’ 맞손
이전글 "가족과 달콤한 추억 만들어요" 제1회 거북섬 봄 달콤축제로 사계절 축제 시작!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