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청년에게 기회를! 꿈을 위한 시드머니 만들어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5-27
경기도는 ‘2024년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참여자 6천300명을 5월 31(금)일 부터 6월 17(월)일 까지 모집한다.  ⓒ 경기도청


총 지급액 470만 원 현금과 100만 원 지역화폐로 지급, 청년노동자의 시드머니 형성 지원 날로 치솟는 고물가 시대에 자산형성은 남의 일 같이 느껴지는 지금 일하는 청년들의 자립기반을 마련해주기 위해 경기도가 나섭니다. 도는 도내 청년 노동자들의 근로의지를 고취시키고 자산 형성 지원 통한 자립기반 마련을 돕기 위해 ‘2024년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참여자 6천300명을 5월 31(금)일 부터 6월 17(월)일 까지 모집하는데요. 올해는 지난해보다 대상 연령·소득 기준·지원 인원이 확대됐다고 합니다.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은 참여자가 2년간 근로를 유지하면서 매달 10만 원씩 저축하면 경기도 지원금 월 14만 2천 원이 추가 적립돼 2년 후 580만 원(지역화폐 100만 원 포함)을 받는 사업입니다. 2016년부터 시행된 경기도의 대표정책인 청년통장은 청년노동자의 자산형성을 돕기위해 마련됐는데 이러한 파격적인 조건 덕분에 현재까지 수익률 ‘142%의 대박상품’, ‘원금복사’ 등의 수식어가 붙을 만큼 인기가 높습니다. 올해 신청 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39세 이하(공고일 5월 24일 기준) 도민 가운데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24.5.건강보험료 기준)인 청년노동자로, 아르바이트와 자영업자 등도 신청할 수 있는데요. 신청 대상자의 출생년도는 1984년 5월25일부터 2005년 5월24일까지 출생자로 가구당 1명만 신청 할 수 있으며, 재외국인은 신청 불가합니다. 또한 병역의무이행자는 병역의무이행기간(최대3년) 신청 연령 연장이 가능합니다. 또한 휴직자(육아휴직자)는 신청 할 수 있으나, 국가 근로장학생은 신청이 불가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지난해 대상 연령·소득 기준·지원 인원은 18세 이상 34세 이하 도민 중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4천 명이었습니다. 도는 청년들의 자산형성 지원과 함께 사회적 자립역량 강화를 위해 재무상담 및 노무상담과 금융 역량강화 교육지원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모집 기간은 5월 31일 오전 9시부터 6월 17일 오후 6시까지이며, 청년 노동자 통장 누리집(https://account.ggwf.or.kr)에서 온라인으로만 신청할 수 있는데요. 주의할 점은 마감일 18:00시까지 작성한 신청서 및 첨부서류 포함 최종 “제출하기”가 완료된 서류만 접수가능하며, “신청 중” 상태로 마감될 경우 미신청 처리됨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신청 접수 이후 서류 심사, 유사 사업 중복 참여 확인, 선정심의위원회를 거쳐 8월 12일 사업 참여자를 최종 발표할 예정입니다. 모집공고는 경기도청 누리집(https://www.gg.go.kr) 고시·공고 및 청년 노동자 통장 누리집(https://account.ggwf.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그밖에 자세한 사항은 청년 노동자 통장 신규모집 콜센터(1877-3757)와 경기도 콜센터(031-120)로 문의하면 됩니다. 이인용 경기도 청년기회과장은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은 열심히 일하면서도 경제적 자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청년들을 지원하는 사업”이라며 “청년 노동자의 안정적 미래 준비와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경기도가 함께 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경기#경기도#경기뉴스광장#Gyeonggi#Gyeonggido#경기도청년노동자통장#경기도청년#소상공인#기준중위소득120%이하#시드머니#금융역량강화#480만원현금100만원지역화폐#자산형성지원#주거비지원#창업운영자금#결혼자금#대출상환#가구당1명신청#account.ggwf.or.kr#수익률142%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청소년의 날’ 맞아 ‘진로·문화축제’ 개최
이전글 [경기도 민생회복 Let’s Go!] ② 금요일에 만나요~! 하남 신장전통시장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