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 청년들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자리잡은 ‘청년 노동자 통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8-19
경기도는 현재 다양한 청년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중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은 ‘수익률 142%’, ‘원금복사’ 등의 수식어가 붙을 만큼 인기를 끌고 있다.  ⓒ 경기도청


경기도는 현재까지 다양한 청년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청년통장을 비롯해 복지포인트, 일자리매치지원, 인턴십 사업 등이 그 예이다. 그중 청년통장은 2016년부터 시행된 경기도의 대표 청년 정책이다. 청년 노동자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된 이 제도는 참여자가 2년간 일자리를 유지하면서 매달 10만 원씩 저축하면 경기도가 지원금 14만2,000원을 추가 적립, 2년 후 580만 원(현금 480만 원과 지역화폐 10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러한 조건 덕분인지 청년통장은 현재까지도 ‘대박상품’, ‘수익률 142%’, ‘원금복사’ 등의 수식어가 따라 붙을 만큼 인기를 끌고 있다. 첫해 지원 대상은 도내 거주하는 중위소득 80% 이하인 만 18세부터 만 34세까지의 저소득 근로청년 500명이었다. 당시 경쟁률은 총 3,301명이 신청하여 경쟁률 6.6:1을 기록했다. 하반기에는 500명이 증가한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 5,377명이 몰려 5.4:1의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2017년도에도 그 인기는 지속됐다. 상반기에만 5,000명 모집에 2만1,302명이 접수해 4.3:1이라는 경쟁률을 기록했고 하반기에는 4,000명 모집에 3만7,402명이 몰려 역대 최고인 9.4:1의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2018년도는 5,000명 모집에 총 3만7,930명이 접수했다. 하루 평균 3,160여 명이 지원한 셈으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높은 지원이었다. 경쟁률은 7.6:1로 집계됐다. 하반기에는 3,000명 모집에 총 1만3,834명이 몰려 4.6:1의 경쟁률을 보였다. 2019년도는 2,000명을 모집, 당시 2만694명이 지원해 경쟁률 10.3:1이라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어 2020년에는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이란 새이름으로 사업을 시행, 총 5,118명의 청년들이 지원했었다. 올해 2021년에는 청년 노동자 참여 기회 확대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고려해 상·하반기 2회 모집으로 확장됐으며, 상반기에만 3,238명이 지원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병역의무이행자의 병역의무 기간에 비례해 신청 연령을 최고 만 39세까지 연장하는 등 일률적 나이 제한에 따른 차별 문제를 해소하고자 했다. 금융위기 청년 보호 강화를 위해 개인회생 및 신용회복지원자(12개월 이상 변제자)에게 주는 가산점을 기존 3점에서 5점으로 변경했다. 올해 하반기 청년통장 선발은 24일부터 9월 2일까지 6,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2차 모집부터는 금융위기 청년 보호를 위해 학자금대출 장기연체자 중 분할상환약정 체결 중인 청년에 가산점(5점) 항목을 추가했다. 도는 서류 심사, 유사 사업 중복 참여 확인, 선정심의위원회를 거쳐 10월 15일 사업 참여자를 최종 발표할 예정이다. 신청자는 청년 노동자 통장 홈페이지에서 개별적으로 선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모집공고는 경기도청 홈페이지(www.gg.go.kr) 고시·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그밖에 자세한 사항은 청년 노동자 통장 콜센터(1877-9358) 및 경기도 콜센터(031-120)로 문의하면 된다. 적립금은 주거비, 창업·운영자금, 결혼자금, 교육비, 대출상환, 그 밖에 본인의 역량 개발이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는 올해 참여자를 포함해 2016년 이후 청년 노동자 총 2만6,300명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해 오고 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 전국 최초로 ‘핸즈프리 소방 헬멧용 통신 장치’ 개발…특허 취득 성과
이전글 KBS 랜선장터(농민기본소득)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