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청년에게 봄을 선물하다!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청년이 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11-27
청년에게 봄을 선물하다!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청년이 봄`  ⓒ 경기도블로그


성남 신흥역의 성남시 청년지원센터를 아시나요? 지하의 빈 상가를 개조해 조성된 이곳은 청년지원센터와 청년예술창작소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성남시 청년지원센터는 청년일자리지원, 청년창업가육성, 청년커뮤니티활성화사업 등 청년문제에 대한 관심과 과제발굴을 통해 문제해결을 하는 청년들을 위한 공간이랍니다. 이곳이 1호점이고 내년에 판교에도 2호점이 운영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직접 가서 진행하는 프로그램과 공간을 잠깐 살펴보았어요.

청년에게 봄을 선물하다!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청년이 봄`  ⓒ 경기도블로그


성남시 청년지원센터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 중 지금 운영되고 있는 건 바로 ‘청년이, 해봄’과 ‘청년문화예술’이에요. ‘청년이, 해봄’은 청년 창업자나 청년 단체의 활발한 프로젝트와 활동을 지원하는 공모사업이고, ‘청년문화예술’은 예술공간에서 진행될 다양한 문화예술 공연과 경험을 위한 공모사업이에요.

청년에게 봄을 선물하다!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청년이 봄`  ⓒ 경기도블로그


입구에 들어서면 간단한 안내를 받고 둘러볼 수 있어요. 공모사업과 이용방법 등에 대한 문의도 할 수 있고, 청년지원센터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청년에게 봄을 선물하다!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청년이 봄`  ⓒ 경기도블로그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청년이 봄’ 공간은 카페처럼 예쁜 공간이었어요. 조용한 분위기에 깔끔한 인테리어로 누구나 자유롭게 쉬면서 머물다 갈 수 있는 곳입니다. 카페처럼 때로는 공유부엌을 활용하며 식당처럼 때로는 스터디하며 머물다가는 북카페처럼 이용할 수 있는데요. 넓은 공간은 아니지만, 구석구석 아기자기하게 잘 꾸며져 있답니다.

청년에게 봄을 선물하다!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청년이 봄`  ⓒ 경기도블로그


공유부엌에서는 간단한 음료나 간식도 준비되어 있어요. 또, 정기적으로 이용한다면 문의를 통해 부엌을 이용할 수 있는 것 같더라고요. 조용하면서 필요한 물건만 적재적소에 있는 공간이 왠지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해요.

청년에게 봄을 선물하다!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청년이 봄`  ⓒ 경기도블로그


이외에도 다양한 행사와 청년지원센터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도 안내되어 있습니다. 프로그램들은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어요.

청년에게 봄을 선물하다!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청년이 봄`  ⓒ 경기도블로그


신흥역에서 수진역으로 이어지는 지하상가에는 ‘청년예술창작소’도 만날 수 있어요. 청년이 함께, 지역과 함께 만들어가는 공간으로 청년들이 하고 싶어 하는 프로젝트들이 실현되고 있는 곳이죠. 댄스교실과 명상 힐링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공연이나 전시를 위한 장소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답니다.

청년에게 봄을 선물하다!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청년이 봄`  ⓒ 경기도블로그


이곳 성남시 청년지원센터는 지하에 있지만, 어느 곳보다 밝은 에너지가 있는 곳 같습니다. 신흥역에 방문하신다면 그냥 지나치지 말고 어떤 곳인지 관심 가져 주시고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살펴보며 공유해 내가는 공간이 되면 좋을 것 같아요. 성남에서 만난 봄이 오는 소식, 청년에게 봄을 선물해주는 곳 성남시 청년지원센터에서 봄을 만들어나가는 청년들이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성남시 청년지원센터 ‘청년이 봄’ 위치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대로267 ​신흥롯데시네마타워 B1 1049호 문의 : 070-4908-2090~4 *위 내용은 경기소셜락커가 작성한 글로, 경기도의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19 경기소셜락커 배유미 락커  ⓒ 경기도블로그


[출처:경기도 블로그]
[작성자:2019 경기소셜락커 배유미 락커]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한돈은 국민의 힘! 국민은 한돈의 힘![태평꿀성대 시즌2 - 37화] 박&규의 ASMR
이전글 경제노동위, 소상공인 보호 및 경제 활성화 위한 교육 방안 논의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