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DMZ 포럼 2019’ 개막…냉전의 유산에서 평화의 상징으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9-20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9일 오전 고양 킨텍스 제1전시관 3층 그랜드볼룸홀에서 열린 ‘DMZ 포럼 2019’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경기뉴스광장 김지호


남북평화협력과 DMZ의 평화적 활용 방안에 관한 ‘국제적 담론 형성의 장’인 ‘DMZ 포럼 2019’가 19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개막식을 시작으로 이틀간의 대장정에 들어갔다. 이날 개회식에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정동채 DMZ 포럼 2019 조직위원회 위원장, 이재준 고양시장, 정하영 김포시장, 최용덕 동두천시장, 판티킴푹 베트남 인권운동가, 글로리아 스타이넘 미국 사회운동가 등 국내외 인사와 도민 등 1,000여 명이 참석했다. 이재명 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전쟁과 갈등, 살육의 상징이었던 DMZ가 평화와 공존, 미래의 희망의 상징으로 바뀌고 있다”며 “오늘 이 자리는 DMZ가 인류역사와 한반도에 하게 될 역할에 대해 설계하고 의논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동채 조직위원회 위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한반도 평화 정착과 남북평화협력을 위해 모인 참가자 모두 환영한다”며 “모두 함께 한반도에 평화가 들꽃처럼 만발하는 미래를 그려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당대표도 축사를 통해 “이번 포럼은 DMZ를 냉전의 유산에서 평화의 상징으로 바꿔냄으로써 한반도 평화와 분단 극복을 모색하는 아주 중요하고 소중한 자리”라며 “한반도는 유일하게 나눠져 있는 냉전국가다. 냉전 극복을 위해 중요한 자리를 만들어 준 경기도에 감사를 전하며, 민주당도 냉전체제 극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DMZ, 냉전의 유산에서 평화의 상징으로’를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포럼은 이재명 경기도지사, 판티킴푹 베트남 인권운동가, 글로리아 스타이넘 미국 사회운동가의 기조연설과 ‘특별세션’, ‘기획세션’ 등 크게 3개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특별세션에는 문정인 교수, 이종석 박사, 조셉윤 전 미국대북특별대표 등이 참여해 ▲평화공동선언 1주년과 남북평화협력시대 ▲한반도 비핵화 전망과 과제 ▲한반도 평화와 동아시아 다자협력 등의 주제발표를 통해 한반도 평화 정착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한다. 경기연구원이 마련한 ‘기획세션’에서는 ▲평화 플랫폼 DMZ ▲평화를 위한 생태계 지속가능성, DMZ ▲남북 주민이 상생하는 접경지역개발 ▲DMZ 어드벤쳐 ▲한반도 평화와 국제협력의 시발점, DMZ ▲기억과 화해를 통한 평화-식민과 냉전의 종언으로서의 DMZ 등 6개 테마에 관한 토론의 장이 마련돼 DMZ의 평화적 활용 방안을 논의한다.

이날 개회식에서 이재명 지사와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한완상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판티 킴푹(PHAN THI Kim Phuc) 여사, 글로리아 스타이넴(Gloria STEINEM) 여사,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 이화영 도 평화부지사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경기도청




19일 오후 킨텍스 제1전시장 3층 그랜드볼룸홀에서 ‘평양 남북공동선언 1주년과 남북평화협력시대’라는 주제로 열린 ‘DMZ 포럼 2019 특별세션Ⅰ’에서 김한정 국회의원, 이종석 전 통일부장관,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 박지원 국회의원이 토론을 하고 있다.  ⓒ 경기도청


경기도는 DMZ 포럼과 함께 18~21일까지 나흘간 킨텍스와 파주, 김포 DMZ 일원에서 DMZ의 우수한 생태관광자원을 널리 알리기 위한 전시‧체험행사인 `DMZ 페스타`를 함께 개최한다. ‘DMZ관’에서는 DMZ의 개념과 함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가늠해 볼 수 있으며, ‘평화관’에서는 4.27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등 한반도 평화와 관련한 사진, 영상자료 등을 볼 수 있다. ‘생태관’에서는 ASMR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DMZ의 생태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고, ‘관광관’은 경기북부 DMZ 일대의 천혜의 자연과 관광명소를 소개하는 관련 지자체들의 전시 공간이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다. 더불어 킨텍스에서는 DMZ, 평화, 생태, 관광 등 4개 테마의 주제관이 조성돼 매일 다채로운 전시와 함께 ▲역사(18일 ‘최태성 선생님과 함께 하는 DMZ 역사여행’) ▲음식(19일 ‘대동맛지도, 한반도食 잔칫상을 찾아서’ 황교익·심영순)▲생태(20일 ‘DMZ로 떠나는 생태탐험기’ 박병권 도시생태연구소 소장), ▲평화(21일 ‘세계평화의 중심, DMZ’ 진천규 통일TV대표)를 주제로 한 토크콘서트가 성황리에 진행 중이다. 특히 21일에는 6.25 역사 영재로 알려진 꼬마 외교관 ‘켐벨 에이시아’와 함께하는 ‘DMZ 강연 및 퀴즈대회’도 열려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밖에도 북한우표전, NNSC 특별전, 6.25사진전, DMZ 생태전, 남북정상회담 및 판문점 디오라마 전시, DMZ 특별영상전, 청년 버스킹, 접경지 인문학 특강, 타임 슬라이스 체험 등 각종 부대행사에 많은 인파가 몰렸다. 행사를 관람하러 온 조영미(42·고양시) 씨는 “경기도민의 한 사람으로 이런 의미 있는 행사가 고양시에서 열리는 것에 대해 큰 자부심을 느낀다. DMZ가 더 이상 분단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지역이 아닌 국민의 염원을 담은 축제의 장소로 기억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DMZ 페스타’는 경기도가 ‘9.19 평양공동선언’ 1주년을 기념해 남북평화에 대한 경기도민의 염원을 전 세계에 알리고자 ▲DMZ 포럼 ▲Live DMZ ▲ART DMZ 등과 함께 개최하는 ‘Let’s DMZ’ 행사의 일환이다. 이화영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66년 분단의 상징이자 평화의 상징인 DMZ를 축제의 장으로 국민들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가도록 준비했다”며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들이 행사를 통해 분단의 아픔에 집중하기보다 미래에 대한 꿈을 키우는 기회가 되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19일 오후 킨텍스 제1전시장 5홀에서 열린 ‘DMZ 페스타’에서 황교익 맛칼럼리스트와 심영순 요리연구가가 ‘대동맛지도, 한반도食 잔칫상을 찾아서’라는 프로그램을 함께 하고 있다.  ⓒ 경기도청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일자리재단-LH, 2022년까지 숙련건설인력 6천여 명 양성
이전글 남북평화협력 해법 모색..‘DMZ 포럼’ 개막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