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돼지열병 차단 위해 축산차량, 거점소독시설 경유해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9-18
경기도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해 거점소독시설을 24개소로 확대 운영하고, 돼지 관련 축산 차량은 해당 시설을 반드시 경유해 줄 것을 당부했다. 거점세척 소독시설 모습.  ⓒ 경기뉴스광장


경기도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해 거점소독시설을 24개소로 확대 운영하고, 돼지 관련 축산 차량은 해당 시설을 반드시 경유해 줄 것을 당부했다. ‘거점소독시설’이란 기존 소독시설로 세척·소독이 어려운 분뇨나 가축 운반 차량 등의 소독을 위해 축산 차량의 바퀴, 측면에 부착된 유기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소독을 하는 시설을 말한다. 도는 올해 6월 북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이후 김포 등 9개 시군 주요 도로 등에 거점소독시설을 운영해왔으나, 최근 파주, 연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함에 따라 12개 시군으로 확대하게 됐다. 전파 위험도가 높은 돼지 관련 축산 차량에 대한 강력한 방역 조치가 필요한 데 따른 조치다. 우선 18일 현재까지 김포, 동두천, 화성, 여주, 이천에 각 1개소, 연천, 양주, 포천, 안성, 고양, 양평에 각 2개소, 파주시에 3개소를 설치해 총 12개 시군 20개소로 확대했다. 이어 오는 19~20일까지 가평과 남양주, 용인, 평택에도 1개소씩을 설치해 총 16개 시군 24개소의 거점소독시설을 운영할 계획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해 돼지 관련 축산 차량은 반드시 인근의 거점소독시설을 경유해 소독 조치를 해주실 바라며, 축산농가 자체에서도 주변 소독, 외부인 출입통제 등 적극적인 차단 방역 조치를 해주시기를 요청한다”고 당부했다.

경기도내 거점소독시설 운영 현황.  ⓒ 경기뉴스광장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경기도, ‘수소에너지 생태계구축 기본계획’ 수립
이전글 경기도, 공정한 건축물 미술작품 생태계 조성 첫발…심의제도 개선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