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 수소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통해 미래 에너지산업을 선도하겠습니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9-18
안녕하십니까! 경기도 환경국장 김재훈입니다. 오늘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에 대응하고 경기도가 수소에너지 산업을 주도하기 위한 “경기도 수소에너지 생태계 구축 기본계획”을 발표하고자 합니다. 경기도는 인구, 자동차수 등이 전국 최대로 수소 대량 수요 예상지역이며 자동차 부품산업 기업 및 종사자수, CNG․LPG충전소수, 수소연료전지보급 1위로 수소관련분야 집적도가 높아 수소산업활성화가 기대되는 지역임에 분명합니다. ※ 경기도 인구수 천3백만(전국25%,‘19년), 승용차 등록대수 5,643천대(전국24%,‘19년) , 버스보유대수 12,769대(전국10%) , CNG충전소 68개소(전국 32%), LPG충전소 448개소(전국 22%) 도는 지난 1월 미세먼지 저감대책의 일환으로 수소차, 수소충전소 보급계획을 발표한 이후, 저렴하고 안정적인 수소 공급망 확보 등 수소생태계 전반에 걸친 종합계획 수립 필요성을 인식하고 5개월 여간 전문가 의견수렴과 도내 지자체와의 협업을 통해 “경기도 수소에너지 생태계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게 되었습니다. 도는 ‘수소에너지전환을 통한 CO2/미세먼지 Free Zone실현’이라는 비전하에 경기도민 누구나 값싸고 깨끗하고 안전한 수소를 사용함은 물론, 수소산업을 미래의 새로운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육성해 나아가겠습니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수소생산기지 10개소 발굴, ▲수소배관망 100km확대, ▲수소차 13만대 및 수소버스 4천대, 수소충전소 200개소, ▲수소연료전지발전 1GW달성(기가와트), ▲주력사업융합형 수소클러스터 육성을 목표로 설정하였습니다. 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5대 분야 20대 중점 과제를 선정, 수소에너지 인프라를 확대하겠습니다. 5대 분야별 중점과제를 간략히 설명 드리자면, 첫 번째, 평택LNG인수기지를 거점형 수소공급기지로 육성하고 수소버스용 분산형 수소생산‧충전기지를 설치해 저렴하고 안정적인 수소공급체계를 구축하겠습니다. 두 번째, 수소차‧수소충전소 확대 및 수소기반 대중교통‧발전시설 등을 통해 누구나 수소를 사용할 수 있는 도민체감형 인프라를 확대하겠습니다. 세 번째, 수소에너지 생산지역과 교통·산단·주거·물류의 주요지역과 연계하여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에너지자립형 수소융합테마도시를 구현하겠습니다. 네 번째, 도내 에너지, 자동차산업 선도지역과 연계하여 수소산업 전주기에 걸쳐 개발-실증-활용할 수 있는 주력사업 융합형 수소클러스터로 육성․발전 시키겠습니다. 수소핵심부품의 글로벌 R&D허브로 도약시켜 나아가겠습니다. 다섯 번째, 안전한 수소에너지 기반 구축을 위해 수소 전담지원기관 및 조직을 설치하고, 내년 3월에 킨텍스에서 국제수소엑스포 개최 등을 통해 수소경제 저변을 확대코자 합니다. 이러한 중점과제 추진을 위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도비 503억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6천9백억원이 투입되며 2020년도 실행계획 용역을 통해 수소클러스터 및 수소융합테마도시 타당성 검토 및 사업규모 등을 구체화할 계획입니다. ※ 국비 980억, 도비 503억, 시군518억, 기타4,904억 이번 수소에너지 생태계 구축 기본계획이 실현될 경우 2030년까지 약 7만 5천명의 일자리 창출과 약 5조 5천억원의 경제투자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기도는 수소에너지를 단순한 연료전환을 넘어 도민에게는 미세먼지 없는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과 일자리를 제공하고, 기업에게는 수소산업 R&D 지원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국산 기술력을 확보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발전시키도록 노력하겠으며, 경기도가 세계 수소산업 성장기 시장을 주도하는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9씨 뉴스 – #퇴근_후_구기자_공방창업_도전기_
이전글 김포시 공무원 어서와~ 도청은 처음이지? [태평꿀성대 시즌2 - 25화] 박&규의 ASMR (총44편)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