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선비정신 깃든 조선시대 교육기관 양주향교에 가다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9-10
선비정신 깃든 조선시대 교육기관 양주향교에 가다  ⓒ 경기도블로그


향교와 서원의 차이점을 알고 계시나요? 이전에는 고풍스러운 느낌이 좋아서 무작정 갔던 곳이지만 이제는 다릅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는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책 속 글귀처럼 알고 방문하면 많은 것들이 보입니다. 서원은 우리나라 선현을 배향하고 유생들을 가르치던 사학교육기관이고 향교는 고려와 조선 시대 유교교육을 위해 지방에 설립한 관학 교육기관입니다. 공자를 비롯한 중국의 5대 성현과 우리나라 선현까지 총 18분의 위패를 모시는 점이 서원과 향교의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선비정신 깃든 조선시대 교육기관 양주향교에 가다  ⓒ 경기도블로그


오늘은 600년의 역사를 가진 양주목 관아의 유일한 공교육기관인 ‘양주향교‘를 가보았습니다. 여느 향교에서 볼 수 있듯 입구에는 홍살문과 하마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선비정신 깃든 조선시대 교육기관 양주향교에 가다  ⓒ 경기도블로그


양주향교 외삼문 앞 500년 된 느티나무는 향교의 운치를 더합니다. 오랜 세월을 이겨내며 고고한 자세로 향교 정문을 지키고 있습니다. 조선 태종원년에 창건되었다는 양주향교는 1592년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10년 광해군 1년 때 재건되었는데요. 이후 6.25전쟁에 불불에 탔지만 1958년에 동무와 서무를 복원하고, 1984년에 명륜당을 복원하였습니다.

선비정신 깃든 조선시대 교육기관 양주향교에 가다  ⓒ 경기도블로그


입구인 외삼문을 들어서면 먼저 유생들이 학문을 배우는 강학장소인 정면5칸, 측면 2칸의 명륜당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보통은 명륜당 좌우로 동재와 서재가 있는데요. 이곳 양주향교는 뒤편으로 이어집니다. 더없이 맑은 하늘을 떠받들고 있듯이 명륜당의 처마 끝이 버선코처럼 날렵합니다.

선비정신 깃든 조선시대 교육기관 양주향교에 가다  ⓒ 경기도블로그


양주항교의 건축배치는 제향 공간은 뒤쪽에, 강학 공간은 앞쪽에 두고 전학휴모입니다. 내삼문으로 들어가면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성전이 보이고, 좌우로는 동무와 서무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제향공간인 대성전에는 향교의 기본원칙에 따라 공자를 비롯한 5성위와 송조 2현,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고 하는데요. 아쉽게도 제가 방문했을 때는 굳게 문이 닫혀있어 들어가지 못했습니다.

선비정신 깃든 조선시대 교육기관 양주향교에 가다  ⓒ 경기도블로그


요즘의 향교와 서원은 과거 제향만 지내는 곳이 아니라, 시민들과 어우러져 소통하는 장소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양주향교 역시 체험과 문화의 장을 열어 시민들과 소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열어 전통보존과 인성교육 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선비의 예와 효 등 유교문화를 바탕으로 한 기본예절을 알려주는 것은 물론 선비체험, 다도다식, 청소년예절학교, 전래놀이 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전통문화를 배울 수 있다고 합니다. 과거에 머물러있는 문화재가 아닌 열려있는 향교로 변모하고 있는 양주향교에서는 2019년 양주향교 프로그램으로 `향교, 시대와 통하다`, `양주향교 유를 만나로 왔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9-10월에 개최되는 야외음악회 등에서도 전통과 문화를 함께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들도 있다고 하는데요. 고즈넉한 풍경을 벗삼아 선비의 마음가짐으로 거닐어보는 향교! 선비의 멋과 흥을 느낄 수 있는 옛 교육기관 양주항교에서 선비 문화를 체험해보세요! *양주향교 위치 : 경기도 양주시 부흥로 1423번길 50 문의 : 031-8082-5670~4 (양주시 문화관광과) *위 내용은 경기소셜락커가 작성한 글로, 경기도의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019 경기소셜락커 추성영 락커  ⓒ 경기도블로그


[출처:경기도 블로그]
[작성자:2019 경기소셜락커 추성영 락커]

원문보러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광교에 분양을 임대로 대체한 중산층 임대주택, 국내 최초 선보여
이전글 “볼거리·즐길거리 많은 전통시장 조성하면 새로운 기회 올 것”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