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안동 행정복지센터

부천시청
홈페이지 전체 검색검색

 범안동 행정복지센터

전체메뉴
주민센터안내 새로운 부천시가 찾아갑니다

주민센터안내

행정동 이름이 바뀌어도 주소는 똑같이 사용하나요?

  • 광역동 전환 시 기존 행정동 명칭은 변경되나 현재 주소로 사용되는 법정동 명칭은 그대로 유지 됩니다.
    • ※ 그대로 사용되는 부천시 법정동(24개) 명칭

      심곡동, 원미동, 소사동, 역곡동, 춘의동, 도당동, 약대동, 중동, 상동, 심곡본동, 소사본동, 범박동, 괴안동, 옥길동, 계수동, 송내동, 여월동, 작동, 원종동, 고강동, 오정동, 대장동, 삼정동, 내동

어떤 점이 좋아집니까?

  • 시청에 가지 않아도 생활민원 등은 광역동에서 즉시 처리하게 됩니다.
    • 광역동기능강화 : 도시재생, 경로당 기능개선, 도로유지 기능 확대(8M→20M), 골목길 보수, 건축신고, 하수도정비, 공장등록 등
    • 주민생활 편리 : 사무→광역동 대폭 수용(복지, 인허가, 단속 등), 지역별 행정조직 특화 (주거, 상업, 공업, 농업), 청소행정 책임강히(1광역동 1청소업체 전담제)
    • 보건, 복지서비스 확대·강화 : 보건·복지 전담인력 확충(방문건강관리 및 복지 서비스 연계), 지역 특성에 맞는 최적화 복지서비스 제공
  • 주민자치회 전환 시 주민총회 개최 등을 통해 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문제를 해결하게 됩니다.(洞 단위 자생단체는 현행대로 활동)
  • 26개 일반동 청사는 주민의견을 반영하여 작은도서관, 문화시설 등 주민편익 공간으로 재탄생하게 됩니다.(경제적 편익비용 1,638억 원)
  • 공무원 증원 없이 서무, 회계 등 중복업무 수행 인력 약 80여명을 도시생활안정, 재난안전관리 등 현장행정 강화를 위해 재배치하게 됩니다.(공무원 인건비 절감 27억 원)

부천에 광역동이 왜 필요한가요?

  • 행정전산화로 인한 창구민원 대폭감소, 저출산·고령화 대비, 노인·장애인·아동·여성 등 복지서비스 수요 증가에 따른 시민편익 증진 정책을 우선 추진해야 하며,
  • 행정조직의 역량집중과 현장중심 행정 강화로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시점 입니다.

부천의 새로운 변화! 광역동이란?

  • 광역동은 행정복지센터 권역 내 2~4개의 동 주민센터를 1개의 광역동(洞)으로 전환하여 공무원 증원 없이 보강되는 인력으로 현장행정 및 주민복지 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행정혁신 입니다.
    • 10개의 광역동은 '작은구청'
      역할로 더 빠르게!!

      시정에 가지 않아도 광역동에서 즉시 처리
      (재난관리, 도시재생, 가로등 정비, 도로정비 등)

    • +
    • 28개의 현장민원실 운영으로
      주민 곁에 늘 함께!!

      통합되는 청사 = 현장민원실 + 주민 편익시설
      현장민원실 = 제증명 발급 + 복지서비스 제공

  • 일반동 청사는 현장민원실로 전환하여 제증명 및 복지서비스 업무를 유지하게 됩니다.
    • 제증명발급 : 등·초본, 인감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어디서나 민원 등
    • 복지서비스 : 기초연금, 기초생활수급자 생계비 등 사회보장급여, 장애인등록, 화장장려금, 보훈명예수당, 위기가정 무한돌봄 신고 등

전체 4건, 페이지 1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