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극심한 폭염에 취약계층 피해 우려…道, 폭염대응 종합대책 추진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07-31
경기도가 폭염피해 경감 및 대비체계 확립을 위한 ‘2018년 폭염대응 종합대책’을 수립·추진한다. 20년 만의 기록적인 무더위가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도가 폭염 피해 경감 및 대비 체계 확립을 위한 ‘2018년 폭염대응 종합대책’을 수립·추진한다. 도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여름철 평균기온 상승으로 인한 폭염 빈도 및 강도가 높아져 피해가 우려된다며 31일 이같이 밝혔다. 이번 폭염대응 종합대책을 통해 도는 우선 취약계층과 취약시설 보호에 집중해 폭염 피해 최소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장기적으로는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도민 홍보 강화 및 시설 확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첫 번째로, 도는 지난 5월 20일부터 오는 9월 30일까지를 폭염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상황총괄반 ▲건강관리지원반 ▲농·축·수산물보호반 ▲구조·구급반 ▲홍보반 등 5개반 10개부서로 구성된 폭염 상황관리 T/F팀을 운영하고 있다. T/F팀은 평소취약계층 파악 및 재난도우미 지정, 무더위쉼터 재정비, 폭염 특보기간 대국민 지속 홍보·교육 등을 실시하고, 폭염주의보 및 경보 발생 시 상황전파·전달 및 상황관리, 폭염대책 추진 및 언론모니터링, 폭염 대처상황 파악 및 지도, 일일 대처상황 보고 및 사례전파 등을 수행한다. 두 번째로, 도는 폭염대책 기간에 노인복지관, 경로당, 종교시설, 금융시설 등 평소 노인들이 자주 이용하고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일상생활 공간 주변에 위치한 접근이 양호한 장소에 무더위 쉼터를 지정·운영 중이다. 쉼터는 적정 실내온도(26~28℃)를 유지하되 탄력적으로 운영된다. 야간·주말·휴일은 폭염 시 실제 개방 가능한 경로당·마을회관 중심으로 지정해 열대야 시 적극적으로 개방한다. 또한 폭염 발생 시 노인들의 건강관리 및 비상시 응급조치를 위해 비상구급품 등도 구비했다. 이번 폭염대응 종합대책을 통해 경기도는 우선 취약계층과 취약시설 보호에 집중해 폭염 피해 최소화에 주력할 방침이며, 장기적으로는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도민 홍보 강화 및 시설 확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세 번째로, 도는 취약 독거노인 등 폭염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집중관리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방문건강관리사업 전문인력, 노인돌보미,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보건인력을 재난도우미로 활용한다. 재난도우미는 폭염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방문건강관리사업 전문인력과 함께 폭염 취약계층을 방문해 건강을 확인하고, 안부전화 등 건강관리·보호를 비롯해 무더위쉼터 위치·이용 안내, 폭염대비 행동요령을 교육·홍보한다. 또한 폭염 취약계층 보호 재난도우미 간담회를 개최하고, 취약계층 폭염정보 전달체계 구축도 추진한다. 아울러 농·어업인, 군인, 건설·산업사업장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가장 무더운 오후 시간대(13:00~17:00)에 휴식을 유도하는 무더위 휴식 시간제(Heat Break)도 운영하기로 했다. 네 번째로, 도는 고온으로 인한 농·어업 피해 예방을 위해 보험가입을 장려하고, 농업인 사망자 예방을 위한 지역자율방재단, 공무원 등 현장예찰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이 밖에도 폭염 건강피해 감시체계, 폭염환자 대비 ‘콜&쿨 구급차(Call & Cool Ambulance)’, 폭염대비 건강지키기 집중 홍보기간 등을 운영하며, 그늘막 등 생활 밀착형 폭염 저감시설 확대, 식중독 예방 및 지도점검 등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는 향후 폭염대책기간 상황관리체계를 유지해 총력 대응하는 한편, 종합대책 추진과 함께 집중 홍보활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또한 필요시 폭염 종합대책 회의 및 현장방문도 실시할 계획이다. 폭염 시에는 식사를 가볍게 하고 충분한 양의 물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땀을 많이 흘렸을 때에는 염분과 미네랄을 보충하고, 주정차된 차에 어린이나 동물을 혼자 두지 않아야 한다. 경기도는 향후 폭염대책기간 상황관리체계를 유지해 총력 대응하는 한편, 종합대책 추진과 함께 집중 홍보활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또한 필요시 폭염 종합대책 회의 및 현장방문도 실시할 계획이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8월 ‘실속 있는 여름휴가’ 청년 복지포인트로 즐기자~
이전글 “우리 동네 유행 감염병, 클릭하면 多 나온다!”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